비건 라떼가 한때 유행했었는데요. 남양유업에서 어매이징 오트라는 귀리음료를 만들면서 식물성 대체 우유로 카페라떼를 즐길 수 있습니다. 지금은 귀리음료가 다양해졌습니다. 하지만 밀크티와 오트음료나 비건 음료는 그다지 어울리지 않았는데요. 아직 그 방법을 찾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쌍화라떼는 커피의 에스프레소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편의점에서 판매하고 있는 베지밀을 이용해서 비건 쌍화라떼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참고로 우유가 있다면 굳이 비건 쌍화라떼는 도전하실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유가 맛은 제일 좋더군요.


편의점에서는 다양한 식물성 음료를 판매하고 있었는데요.
그중에 익숙한 베지밀을 사려는데 종류가 3가지나 되는군요
베지밀 에이와 비는 190ml에 1800원입니다.
검은콩두유는 같은 190ml에 2100원입니다.
간단하게 미리 구분하면
에이는 단맛이 적고
비가 단맛은 많습니다.
검은콩은 검은콩추출액이 들어갔고 에이와 비의 중간 정도의 단맛입니다.
베지밀 비


베지밀 비는 달콤한 두유입니다.
190ml에 125kcal 입니다.
당류가 10g이 포함되었으며
지방은 6g입니다.
단백질도 6g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재료를 보면
원액 두유가 94% 이며, 설탕과 대두유, 그리고 소금과 유화제와 다양한 제재와 함께
땅콩향료를 사용했습니다.
베지밀이 일반 두유 보다 고소함이 풍성하게 느꼈던 것은 땅콩향 덕분이었던 것 같습니다.
맛은 달콤하고 고소한 베지밀입니다.
베지밀은 베지밀맛이라고 해야 제대로 된 표현 같은데요.
일반 대두의 향보다는 땅콩의 고소함이 많고 오일감이나 향은 많지 않고
찌든 기름향도 없습니다

쌍화차를 뜨거운 물 30ml에 녹여서
데운 베지밀 비를 넣어서 쌍화라떼를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쌍화차도 달았기 때문에
달달한 베지밀 비가 섞이니 단맛이 진합니다.
단맛을 좋아하신다면 괜찮을지 모르겠지만 저에게는 조금 느끼할 정도로 달았습니다.
베지밀 에이


베지밀 에이는 190ml 110kcal입니다.
당류가 6g이며 지방이 6g, 단백질도 6g이라
베지밀 비와 단백질 양은 같지만 당류와 지방이 적은 타입니다.


원액두유가 96%입니다(베지밀 비가 94%)
그리고 설탕과 소금, 대두와, 유화제 등이 포함된 재료는 거의 같은데요.
독특한 것은 향료가 없습니다.
베지밀 비가 좀 더 고소하게 느껴진 것은 땅콩향 덕분이고
베지밀 에이가 좀더 담백하게 느껴진 것은 향료가 없는 것도 영향을 미치는 것 같습니다.

쌍화차를 뜨거운 물 30ml 정도에 녹여서
따뜻하게 데운 베지밀 에이와 섞어서 쌍화라떼를 만들었습니다.
단맛이 지나치지 않아서 마시기 편합니다.
쌍화차향이 선명해서 콩향은 거의 나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베지밀 에이는 콩향이 조금 있어서 그냥 마시기에는 느끼함이 있지만
쌍화라떼로 마시면 느끼함이 없고 마시기 편해졌습니다.
베지밀 검은콩 두유


그렇다면 가장 높은 가격을 가진 검은콩 두유는 어떨까요?
190ml에 115kcal입니다. 베지밀 에이와 베지밀 비의 중간 정도의 칼로리를 가지고 있으며
당류는 10g으로 베지밀 비와 같지만 지방이 4g으로 가장 적은 지방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백질도 5g으로 베지밀 에이나 비에 비해 적었습니다.


원액두유가 70%로 가장 적은 원액 함량입니다.
설탕과 소금과 함께
검은콩추출액과, 현미추출액, 검은 참깨페이스트와
유화제와 향료를 포함한 제품입니다.
그래서 수색에도 거무스름한 색이 있습니다.
검은콩두유이지만 향에서는 검은깨향도 많아서 고소함이 상당히 많습니다.

쌍화차를 뜨거운 물 30ml로 진하고 뜨겁게 만들고
데운 검은 콩 두유를 섞어서 쌍화라떼를 만들었습니다.
수색이 좀 더 진한 쌍화라떼가 되었습니다.
맛은 베지밀 에이로 만든 쌍화라떼와 비슷한 정도의 맛으로 느껴졌습니다.
검은콩과 검은깨의 고소함이 쌍화차 향에 덮여서 고소함이 잘 느껴지지 않고
당도와 고소함 적당한 정도였습니다.
마시기에는 나쁘지 않았지만
베이지밀 에이로 만든 쌍화라떼와 비교해서 장점이 특별히 없기 때문에
굳이 가격이 높은 검은콩두유로 만들 이유는 없어 보였습니다.

오늘은 베지밀을 사용해서 쌍화라떼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셋 중에 쌍화라떼로 적당한 당도와 조화로움은 베지밀에이가 가장 좋았습니다.
베지밀 비는 단맛이 너무 진했고, 조화로움이 부족했습니다
검은콩 두유는 베지밀 비보다는 잘 어울렸지만 굳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베지밀 비와 검은콩두유에는 향료가 포함되어 있는데 쌍화차의 향과 잘 어울리지 않았습니다.
'차를 마시다 > 밀크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양한 바나나맛 밀크티를 만들었어요 - 블랙 바나나맛 밀크티, 그린 바나나맛 밀크티, 보리 바나나맛 밀크티 (40) | 2025.03.30 |
---|---|
아이스 밀크티는 홍차베이스나 타로베이스로 만드는 편이 좋은 것 같습니다 - 노브랜드 홍차베이스, 노브랜드 타로베이스 (3) | 2024.04.28 |
[우유비교] 소화가 잘되는 우유 vs 오리지널 우유 - 어떤 우유가 밀크티로 맛있을까요? (1) | 2024.04.06 |
사이더(Cider)로 애플 밀크티 만들기 - 써머스비 애플과 호가든 애플 (3) | 2023.11.02 |
현미우유로 만든 비건 말차라떼는 맛이 어떨까요? - 얼티브 현미우유 (0) | 2023.08.15 |
댓글
HEEHEEN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