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34

[편의점 밀크티] 홍루이젠 밀크티 휴 vs 아쌈 밀크티 예전에는 밀크티라면 데자와가 밀크티의 세계를 평정했다면 요즘에는 다양해진 밀크티를 볼 수 있다. 일반 마트에서는 그나마도 흔치는 않지만 편의점 특히 CU에서는 몇 가지 밀크티가 보인다. 그렇다고 모든 CU에서 볼 수 있지는 않다. 인기가 많지는 않은지 나도 3번째 편의점에서 겨우 구입을 했다. 오늘의 밀크티는 홍루이젠 밀크티와 아쌈 밀크티이다. 유튜브에서 홍루이젠 밀크티에 대한 칭찬이 많아서 기대를 가지고 구입을 했고 비슷한 종이팩에 든 아쌈은 덩달아 사보았다. 편의점 밀크티 가격비교 가격은 홍루이젠 밀크티는 2500원이고 250ml이다. 아쌈 밀크티는 1500원이고 300ml 이다. 압도적으로 아쌈 밀크티가 저렴하다. 250ml에 2500원이면 저렴한 가격이 아니다. 고급 카페라테보다 조금 더 비싼 가.. 2021. 1. 13.
말차가 아닌 일본 녹차를 마셔보았습니다 - 일본녹차 이야기 일본은 세계에서도 인정 받는 녹차의 생산과 소비국가이다. 일본의 녹차라면 맛차(말차, 마차)가 떠오른다. 밝은 녹색의 차가루를 대나무채같은 것으로 거품을 내서 먹는 광경을 영화등에서 볼 수 있다. 아이스크림이나 쿠키등에도 사용하면서 인기가 많다. 그래서 일본은 녹차를 생산도 많이 하지만 소비가 너무 많아서 OEM 방식으로 해외주문을 하기도 한다. 오늘 여기서 소개할 일본의 녹차는 맛차가 아니라 잎으로 된 차 몇가지 이다. 일상에서는 거의 접하기 힘든 일본의 녹차이지만 티소믈리에 과정에 어째서인지 큰 영역을 차지하고 있어서 공부를 위해 마시고 공부해야 한다. 다행히 나의 기호와는 차이가 있는 차라서 공부할 때를 제외하고는 마실 일은 없을 듯 하다. 일본차의 역사 중국의 송나라 때 일본의 승려 에이사이 가 .. 2021. 1. 12.
차의 나라 중국의 홍차에 관한 이야기 차를 말할 때 중국을 빼고 말을 할 수는 없다. 차의 발생지, 차 생산량과 소비량 세계 1위의 지위를 잃지 않는 나라가 중국이다. 하지만 중국의 차는 녹차와 청차의 비중이 커서 홍차의 비중은 11% 정도뿐이다. 하지만 세계 홍차 시장이 성장하면서 중국 정부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고 보면 중국차 중국차 말은 많이 듣지만 실제로 관광지에서 사 오는 기념품 같은 차를 제외하고는 제대로 마셔볼 일이 흔치는 않다. 중국의 차 중에서 홍차에 대해서 알아보고 마셔보기도 해 본다. 중국의 홍차는 세계 최초의 홍차인 정산소종이 있고 세계 3대 홍차인 기문 홍차를 생산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찻잎을 완전산화한 찻잎을 홍차라고 부른다. 18세기경부터 발생했으며, 남부지역인 푸젠성, 안후이성, 원난성에서 생산되고 있다. .. 2021. 1. 11.
[밀크티] 하나의 향신료만을 고른다면... 카락 차이 만들기 두바이 전통의 밀크티라는 말도 있고, 파키스탄 전통의 밀크티라는 말도 있는 카락차이는 어떤 사전에서는 마살라차이와 같은 뜻이라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조금 차이가 있다. 마살라 차이는 마살라 라는 배합향신료를 사용하거나 다양한 향신료를 조합해서 밀크티를 만들지만, 카락차이는 한가지 정도의 향신료를 지나치지 않게 넣어서 만드는 만드는 밀크티이다. 재료도 레시피마다 모두 차이가 있다. 원래는 연유를 사용했다는 설도 있고 우유를 사용한다는 설도 있다. karak은 흰두어로 कारक 이렇게 쓰는 단어인데 문법에서 말하는 명사를 의미한다고 하며, 중동, 파키스탄, 이란, 말레이시아까지 Karak이라는 도시가 있다. 왜인지는 알 수 없었지만 밀크티의 이름인 Karak Chai의 어원을 알기 위해 찾아 보았지만 알 수 .. 2021. 1.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