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33

차 6 형제 - 차의 분류백차, 녹차, 황차, 청차, 홍차, 흑차 차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요? 대용차를 제외하고 카멜리아 시넨시스종 이라는 식물로 만든 차는 가공방법에 따라, 중국에서는 6가지로 분류를 한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자주 먹는 녹차, 서양과 중동, 인도등지에서 마시는 홍차가 가장 널리 알려진 차이다. 그리고 청차는 우롱차라고 불리우며 우리가 자주 접하는 것은 일본의 드라마나 애니에서 종종 볼 수 있지만 세계적으로 알려진 것은 대만과 중국의 우롱차이다. 흑차는 서양에서 black tea는 홍차를 의미하지만 차의 분류에서 흑차는 보이차를 의미한다. 그리고 자주 접하기 힘든 차가 백차와 황차이다. 원래 이런 차의 색분류는 초기에는 수색(찻물의 색)으로 구분했었으나 요즘에는 가공방법에 따라 분류를 한다. 이렇게 분류된 차의 가공방법과 향, 맛, 색을 간단히 살.. 2020. 12. 14.
BLACK TEA 는 홍차다 - 홍차에 관한 기초 정보 예전 어느 카페에서 메뉴판을 보는 데 BLACK TEA라는 메뉴가 있었다. 호기심에 이 메뉴가 무엇인가 물어봤지만 종업원 분도 뭔지 모른다고 했었다. 지금이야 서양에서 블랙티라고 하는 것이 우리의 紅茶를 의미하는 것을 알지만 예전에는 그랬다. 서양에서 홍차를 black tea라고 부른 것은 건조된 찻잎의 색이 검어 보였기 때문이다. 그럼 red tea는 없을까 해서 찾아봤더니 루이보스차를 서양에서는 red tea라 부른다. 나 같으면 보이차를 black tea라고 칭하겠다 싶지만 보이차는 영어로도 보이차로 부르기도 하고 또 다른 표현으로는 dark tea라고 부르기도 한다. 홍차는 작게는 영국이나 미국에서도 재배를 하고 있다고 하지만 유의미한 산지에 따라 중국홍차, 인도 홍차, 스리랑카 홍차, 케냐 홍차.. 2020. 12. 13.
[책] 애프터눈 티 - 홍차문화의 A에서 Z까지 홍차의 시작은 중국이었으나 세계로 알린 국가는 영국이다. 영국의 홍차를 대표하는 다도를 애프터눈 티라고 한다. 오후 5시경 홍차와 함께 설탕, 우유를 넣기도 하고, 구멍 뚫린 3층 정도 접시에 케이크나 버터 발린 빵, 그리고 샌드위치 등을 놓고 모여 마시는 행위를 애프터눈 티라고 한다. 상세하게 보면 중국이나 일본의 다도처럼 주최자가 해야 하는 행동과 손님이 해야 하는 행동과 말이 있다. 도서관에 붉은 표지의 차에 관련한 책이 있어서 무작정 골라서 읽었다. 책 표지에 화려한 장식이 있는 만큼 이 책의 내용도 왕실과 귀족문화를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거부감이 있으면 피하면 좋은 책이다. 하지만 아직도 화려한 도자로 만든 찻잔과 티팟은 인기가 있는 것을 보면 여전히 좋아하는 수도 많은 듯 하다. 홍차의 .. 2020. 12. 12.
시넨시스 vs 아사미카 - 차라는 식물에 관한 이야기 식물학에서 차는 카멜리아 시넨시스 차는 동백나무속의 시넨시스종의 시넨시스 변종과 아사미카품종으로 두 가지로 나뉜다. 그래서 정식 학명은 카멜리아 시넨시스가 차나무의 학명이다. 품종으로 시넨시스와 아사미카로 나뉜다. 참고로 카멜리아는 영어로 동백이며, 시넨시스는 라틴어로 중국을 뜻한다. 생물 분류로 차나무가 동백나무속 차나무종이니, 카멜리아 시넨시스 시넨시스라고 부르는 것은 '동백속 차나무 중국'이고 카멜리아 시넨시스 아사미카는 '동백속 차나무 아삼'이라고 이해를 해야 할까? 중요한 것은 차나무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한 종류는 중국파 한 종류는 아삼파가 있다는 정도일 것이다. 중국에 주로 있는 시넨시스품종은 야생에서는 약 5미터를 자라며 품종에 따라 소엽종과 대엽종으로 나누는 이들도 있다. 추위에 강해.. 2020. 12. 11.
728x90
반응형